목차
카테고리 생성 이유
약 3년 전 '소프트웨어개발실무' 라는 수업을 수강한 적이 있습니다. 해당 수업에서는 CI/CD의 중요성을 배우고 해당 내용을 실습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실습의 내용은 단순하게 깃허브를 연습하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마지막 과제 내용이 재밌었는데요. '스페이스 인베이더' 게임 코드가 주어졌을 때, 우리는 해당 게임을 유지 보수하는 직원이라는 시나리오가 주어집니다. 이 때, 고객의 요구사항이 주어집니다. "2인 플레이가 가능하게 해주세요.", "일시정지가 가능하게 해주세요", "난이도 선택 기능이 있으면 좋겠어요" 등등 다양한 요구사항이 주어질 때 해당 요구사항들을 잘 처리할 수 있는 CI/CD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팀원들과 강구해보고 실제로 구성해보며 구성된 CI/CD 환경을 토대로 고객이 주는 요구사항을 해결해보는 것이 과제였습니다.
팀원들과 많은 회의를 하며 CI/CD 환경을 구성하였고 성공적으로 유지 보수를 완료하여 좋은 성적을 받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과거 작업했던 깃허브 레포가 삭제되었는지 안보이는 점 등 관련 자료를 정리해 저장해두지 않은 저의 잘못으로 관련 내용에 대해 증명할 근거가 없습니다.
해당 과제를 수행하며 얻은 지식이 굉장히 재밌었고 유익했던 것으로 기억하기에 복습한다는 생각으로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며 CI/CD 환경 구성 작업을 따라가보려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록을 토대로 공부한 증거도 남기고 싶습니다.
작업 종류
제가 기억하고 있는 작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 Jira와 Slack을 연동하여 칸반 보드에서 작업 형태가 변경되었을 때, Slack 메시지로 전달되어 팀원들의 작업 현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
- Jira와 Github를 연동하여 이슈 관련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함
- Github와 Jenkins를 연동하여 빌드 배포를 자동화 함
(위 작업 종류 3가지를 한 눈에 담긴 이미지 만들어서 여기에 놓기)
1. Jira와 Slack 연동
Jira와 Slack 연동
2023.08.22 - [CICD/학부수업내용복습] - 카테고리 생성 이유 앞서 작성했던 글의 내용에서 설명드렸듯 Jira와 Slack 연동한 이유는 팀원들의 작업 상태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관련
dev-taehee.tistory.com
2. Jira와 Github 연동
Jira와 Github 연동
2023.08.22 - [CICD/학부수업내용복습] - 카테고리 생성 이유 앞서 작성했던 글의 내용해서 설명드렸듯 Jira와 Github를 연동한 이유는 이슈 관련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dev-taehee.tistory.com
3. Github와 Jenkins 연동
Github와 Jenkins의 연동은 부트캠프에서 공부할 때 다루었던 내용을 정리한 글이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시도하려고 했던 이유가 애초에 '소프트웨어개발실무' 팀플에서 다뤄봤던 내용이어서 시도해봤던 것인데요. 이 글을 정리하면서 작업하면서 겪은 이슈나 해결 방법을 잘 정리해두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건지 깨달았습니다.
AWS EC2 환경 사용 시 Jenkins를 이용하여 CI/CD 시도한 내용
개요 Codestates PreProject 진행 시, Github Actions와 AWS Connector를 막아놔서 CI/CD를 쉽게 연결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있었습니다. 수업 때 배웠던 내용이 적용이 안되어 당황스러웠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dev-taehee.tistory.com
'소프트웨어개발실무' 팀플로 CI/CD 환경을 구축하는 경험을 했고 해당 경험 덕분에 CI/CD 환경을 새롭게 구축해야하는 상황에서도 겁먹지 않고 도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CICD > 학부수업내용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Jira와 Github 연동 (0) | 2023.08.23 |
---|---|
Jira와 Slack 연동 (0) | 2023.08.23 |